보 도 자 료
○ 발 신 : 인천평화복지연대
○ 수 신 : 각 언론사
○ 일 시 : 2020.03.25
○ 제 목 : 인천내항 1.8부두 공공재생을 위한 시민행동 발족
○ 연락처 : 신규철 정책위원장(010-4909-5747)
인천내항 1.8부두 공공재생을 위한 시민행동 발족선언문
1883년 개항한 인천항은 영욕의 한국 근현대사와 함께 한 역사적 장소이다. 잡초가 우거진 갯벌지대를 매립해 조성한 인천항을 통해 온갖 근대 문물과 사람들이 오가면서 조선은 지구촌 세계로 나아갔다. 제국주의 국가로 팽창한 일제의 식민지 침탈에 맞서 청년 백범을 비롯한 조선 민중들의 피땀으로 건설한 인천축항은 이후에도 줄곧 노동자의 고된 노동을 통해 만들어진 물건을 실어 나르는 수출입 항구로, 한국의 비약적인 경제 도약에 견인차 역할을 한 곳이다.
1974년 동양 최대의 갑문식도크를 갖추고 조성한 인천내항 1~8부두는 1970~80년대 고도압축 성장기의 심장지대였다. 그러나 국내 최대 공업지대의 하나였던 경인공업지대를 끼고 서해안 제일의 수출입 전용 무역항으로 운영한 내항은 경제적 부를 가져다주었지만, 인천이 간직한 역사와 문화를 돌볼 틈도 없이 공해도시와 산업도시로 일그러지는 그림자를 남겼다. 인천내항을 통해 오고갔던 고철과 목재, 온갖 잡화물들로 인하여 개항 이래의 역사를 간직해온 중구 일대는 뽀얀 먼지로 뒤덮이고 항만의 소비유흥지대로 겨우 숨 쉬다가 인천의 도심이 이동하면서 오랫동안 구도심이라는 오명을 받게 되었다.
21세기에 접어들어 세계 해운항만의 추세가 대형 컨테이너선과 크루즈선 등으로 경쟁하는 시대가 된 지 오래다. 갑문식 도크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들여 입출항 해야 하는 인천내항의 기능이 나날이 쇠퇴하고 있다. 국가에서도 이를 미리 내다보고 전국항만계획과 인천항기본계획 등을 통해 인천항의 기능을 신항과 북항, 남항 등으로 이전하는 기능재배치를 통해 인천내항은 원도심 중구와 연결되는 시민친수항만으로 조성하도록 방향을 결정지은 지도 오래다. 그런데 왜 인천내항의 올바른 재생은 십 수 년째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가?
항구가 형성되고 발전되어온 역사적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인천내항은 노동자들의 피땀과 중구지역주민들의 희생 위에서 국민경제 발전과 국가의 성장을 위해 사용해왔던 곳이다. 이제는 인천 내항을 이로 인해 희생을 당한 시민들과 국민들에게 공공재로 온전히 돌려줘야 한다. 그러나 인천내항은 재개발사업 고시가 이루어진 이후에도 특정 공기업이나 소수 경제 주체들에 의해 독점되고 있다. 이제 더 이상 인천내항을 특정 기관과 세력들의 이익을 위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이용하도록 방관할 수 없다. 공공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하는 정부와 인천시, 그리고 인천시민들이 나서서 아름답게 만들어 미래세대들에게 물려줘야 한다.
우리 인천시민들은 이를 위해 ‘인천내항1.8부두 공공재생을 위한 시민행동’을 구성하고 이를 위해 집중적인 활동을 전개할 것이다. 도시의 주인은 시민이며, 시민들은 도시에 대한 주권자로서의 권리를 갖는다. 우리는 시민들과 함께 당당히 공공성에 입각한 내항의 바람직한 재생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2020. 3. 25
인천내항 1.8부두 공공재생을 위한 시민행동
가톨릭환경연대, 강화도시민연대, 교육•문화연구 local+, 남북평화재단경인본부, 노동희망발전소, 노후희망유니온인천본부, 네모회(한국사회문제연구모임), 다인아트, 도시자원디자인연구소, 동인천1구역발전협의회, 문화인천네트워크, 미추홀학부모넷,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인천지부, 복숭아꽃, 비평그룹 시각, (사)시민과대안, (사)인천민예총, 생명평화포럼, 실업극복국민운동인천본부, 스페이스빔,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천지부, 인천감리교사회연대, 인천녹색연합, 인천내항살리기시민연합, 인천도시공공성네트워크, 인천민중교회운동연합, 인천비정규노동센터,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인천여성노동자회, 인천여성민우회, 인천자바르떼, 인천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인천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인천평화복지연대, 인천환경운동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인천지부, 중동구평화복지연대, 지역사회와함께하는사제연대, 청솔의집, 커뮤니티씨어터 우숨, 평등교육실현을위한인천학부모회, 함께걷는길벗회, 희망을만드는마을사람들, 함께걸음인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홍예門문화연구소 * 총45단체(2020년 3월 25일 오전기준)